발전설비수명평가 (Power Plant Life Assessment) 발전설비의 설계자료, 운전이력, 검사이력 그리고 정비/보수이력 등의 분석을 통해 주요 Damage Mechanism을 평가하고 그에 따른 검사방법을 제시, 그리고 이를 토대로 Inspection Plan을 수립함 수립된 Inspection Plan을 토대로 Engineering Assessment, Material Assessment, Visual Inspection, 그리고 비파괴검사를 수행
• Engineering Assessment를 수행
- 고온에서 가동되는 설비는 주요 손상 기구에 따라 크리프(creep) 및 피로(fatigue)에 의해 수명이 소진되므로 크리프 및 피로 수명 소진율의 계산을 통해 잔여 수명이 계산됨
- 운전 데이터와 설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응력 해석 수행 (열 전달 해석, 열 응력 해석, 균열 선단 응력 해석)
• 터빈로터건전성평가결과 해석에 의한 결함 위치 및 크기 해석
• No Crack : CLE Method를 이용하여 기동/정지에 따른 수명 예측
• Crack : 운전 시간에 따른 균열 진전 해석을 통해 파손 확률 예측
• Meterial Assessment를 수행
- 조직복제법(Replica) 시험을 통하여 미세조직의 재질열화 상태 및 크리프 기공율 평가
- 균열 발생 원인의 분석 - thermal fatigue, SCC, CF
• 유한요소해석(FEM)을 통해 터빈 로터가 기동 및 정지시의 천이 상태와 운전 중일 때의 정상 상태에서의 온도 해석과 응력 해석을 수행하고 로터 강 재료에 대한 참고문헌을 토대로 설계측면에서의 피로 수명과 크리프 수명 소비율을 평가